민간 전문가들 “급증한 부채 부실화 될 수도… 적극 대비를”

입력 2022-08-19 04:06
1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산업리스크 대응 관련 민간전문가 간담회가 열리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 주최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이 “코로나19 확산기를 거치면서 불어난 부채 리스크에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부실 대출 위험이 금리 상승기에 더 고조되는 만큼 채무 조정 등의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위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금융산업 리스크 대응 관련 전문가 간담회에서 최동범 서울대 경영대 교수는 “예기치 못한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스템 불안정이 우려된다. 저금리 환경에서 급격히 늘어난 부채가 유발할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이어 “금리 상승을 견인하는 인플레이션 관리와 더불어 금융시스템 전반의 부채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 유사시 시장 유동성 확보에 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급증한 부채 부실화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가계부채(1859조원)와 기업부채(1609조원)를 합친 민간 부채는 국내총생산(GDP)의 2배를 넘는 수준이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도 “코로나19 금융지원 이면에 숨겨진 잠재 부실이 우려된다. 특히 증권, 캐피털, 저축은행 등 업종에서의 신용위험 확대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본부장은 “급격한 금리상승, 부동산시장 정상화 과정에서 금융회사의 일시적 유동성 리스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유동성 지원 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리스크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예상치 못한 새로운 위험, 위험의 축적, 업권 간 상호연계성 확대에 관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업권 간 상호 연계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취약 부분에 발생한 충격이 업권 간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은행권에서 터진 부실 리스크가 비은행권으로 번질 수도 있다는 의미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금융업권 간 상호거래는 3191조원인데, 이 가운데 은행과 비은행 간 거래는 1137조원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