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국 경제가 심상찮아 우려스럽다.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상하이 등 주요 대도시의 봉쇄가 해제된 이후 중국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소비 생산 고용 등의 지표가 오히려 뒷걸음치고 있다. 중국 당국이 최근 발표한 7월 산업생산은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시장 예상치(4.5%)뿐 아니라 코로나 봉쇄 여파가 남았던 6월(3.9%)보다도 부진한 수치다. 소매 판매는 2.7% 늘어 예상치(5%)의 반토막 수준이고 신규 주택가격은 약 7년 만에 최대 수준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경기 불안으로 중국인들이 씀씀이를 대폭 줄인 결과로 볼 수 있다.
비록 서방과의 갈등을 겪고 있지만 중국은 여전히 세계의 성장 엔진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의 경기 침체를 먼 산 바라보듯 할 수 없는 이유다. 실제 국제유가가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 수준으로 급격히 떨어진 것도 원유의 약 15%를 소비하는 중국 경기 영향이 크다. 얼마 전까지 전 세계가 고유가에 신음했는데 이제는 정반대 현상에 글로벌 불황의 그늘을 걱정하고 있다.
대중 수출이 전체 수출의 4분의 1가량인 우리나라도 비상이다. 중국 수요 둔화로 대중 무역수지는 수교 이래 처음 5~7월 3개월 연속 적자를 보였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7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의 64.7%가 ‘하반기 수출이 상반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고 가장 큰 이유로 ‘중국 등 주요 대상국의 수요 감소’(44.3%)를 꼽았다. 윤석열정부가 미국이 주도하는 반중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적극 참여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우리나라의 수출, 생산 등에 영향을 주는 중국과의 관계를 외면할 순 없다. 중국 시장 내의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해 업종별 대응 방안을 적극 마련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대중 수출과 수입 편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대안 시장 확보 노력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