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역에 안장됐던 선열 17위가 광복 77주년을 맞아 국립묘지에 영면했다.
국가보훈처는 14일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광복군 선열 17위에 대한 합동봉송식을 진행한 뒤 국립대전현충원에서 합동안장식을 거행했다.
선열 17위는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7묘역에 조성된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 묘역’에 개별 안장됐다.
봉송식과 안장식에는 수유리 광복군 선열 중 백정현 지사의 조카 백공수씨, 이도순 지사의 외손 김대진씨, 이한기 지사의 종손 이세훈씨와 한국광복군기념사업회 등 광복군 후손들이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서울현충원에서 열린 합동봉송식에 참석해 추모사를 통해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이름도 남김없이 쓰러져갔던 영웅들을 우리가 끝까지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어 “정부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을 책임있게 예우하는 데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오늘날 우리가 마음껏 누리고 있는 이 자유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절망 속에서도 오직 자유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던진 분들의 희생 위에 서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추모사에서 17위 광복군 선열을 모두 호명했다. 이어 영현 봉송이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켰다가 유족들과도 일일이 악수했다.
윤 대통령은 광복군 출신 김영관(97) 애국지사의 송파구 자택도 방문했다. 언론에 공지되지 않은 비공개 일정이었다.
특히 윤 대통령이 광복군 예우를 강조하면서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이른바 ‘건국절 논란’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948년 건국절 지정을 추진했던 과거 보수진영 일각의 역사관에서 벗어나 대한민국이 1919년 수립된 임시정부의 적통을 사실상 이어받았다는 진보진영 주장도 끌어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한민국 역사를 이승만 전 대통령의 제1공화국 수립 전으로 넓게 봐도 전혀 손색이 없을 수 있다는 표현이 광복절 경축사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