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승객 호출에 따라 버스를 배차하는 수요응답형 버스(DRT)를 확대한다. 경기도는 지난해 12월부터 추진해온 DRT 시범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DRT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DRT사업은 고정된 노선과 정해진 운행계획표 없이 승객이 버스를 호출하면 그 곳으로 버스가 이동해 탄력적으로 승객을 수송하는 신개념 교통서비스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 실제 승객 수요에 맞춰 실시간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해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12월부터 파주 운정1·2·3지구와 교하지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해 현재까지 13만여명이 이용하는 등 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응답자의 79%가 ‘만족한다’라고 답하기도 했다.
경기도는 2·3기 신도시나 농어촌 지역 등 기존 교통체계로 교통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지역에 DRT를 도입할 계획이다. 지난 1월부터 시·군 현장실사를 진행, 도입에 적극적인 7개 시·군(수원·양주·고양·하남·평택·안산·화성)을 예비 대상지로 선정한 후 5월 31일에 DRT 운행을 위한 규제샌드박스 신청을 진행했다.
이와 더불어 이달 8일부터 19일까지 2주간에 걸쳐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2~2023년 DRT 사업 대상지 수요조사’도 추진한다.
하반기 중에 사업 대상지 심사위원회를 거쳐 참여 의사를 밝힌 시·군 중 DRT 운행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할 방침이다. 추가 선정된 시·군은 내년 상반기 내 규제샌드박스 추가 신청 등의 행정절차 후 DRT 운행을 적용할 계획이다.
박노극 경기도 교통국장은 “현재 도민들은 서울로의 출퇴근뿐 아니라 지역 내 이동에도 버스 부족 등의 이유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면서 “DRT 사업 확대를 통해 도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자유롭게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