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 장난감, 학용품, 책, 운동기구, 샴푸, 비누…. 약간 과장하자면 446㎡(약 135평) 크기의 매장엔 없는 게 없었다. 주로 중고 상품을 취급하는 가게였지만 물건 대부분은 새것처럼 보였고 가격은 상상을 초월할 만큼 저렴했다. 매장 안은 시종일관 손님들로 북적였는데 가장 눈길을 끈 것은 작업복 조끼를 입고 고객을 안내하는 직원들이었다. 이들의 작업복 뒷면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자선이 아닌 기회를’.
지난 3일 찾은 이곳은 서울 송파구에 있는 굿윌스토어 송파점이었다. 굿윌스토어는 개인이나 기업으로부터 쓰지 않은 물건을 기증받아 시민들에게 되파는 가게로 사회복지법인인 밀알복지재단이 운영한다. 판매 수익으로 매장에 취업한 장애인 직원에게 월급을 주는 사회적기업으로, 송파점에 근무하는 장애인 직원만 55명이나 됐다.
현장에서 만난 이는 굿윌스토어 실무를 총괄하는 한상욱(63) 굿윌본부장이었다. 2011년 5월 송파점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전국 각지에 생긴 굿윌스토어 매장은 14곳이나 된다. 주로 발달장애인이 공개채용 절차를 통해 직원이 되는데, 지금까지 이런 과정을 통해 일자리를 얻은 장애인은 282명에 달한다. 4대 보험이 엄격하게 적용되고 ‘자선이 아닌 기회를’ 제공하는 곳으로 알려지면서 ‘발달장애인계의 삼성’이라는 별칭까지 붙었다. 지난달엔 기획재정부가 주관한 ‘2022 사회적 경제 활성화 유공 정부 포상 수여식’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한 본부장은 굿윌스토어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이유를 묻자 “사회복지 모델과 비즈니스 모델이 성공적으로 결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굿윌스토어는 수익이 나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든 모델”이라며 “대기업 출신 유통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이 일에 참여하면서 사업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굿윌스토어의 지난해 매출은 119억원에 달했다.
젊은 시절엔 직장인으로, 중년이 돼서는 사업가로 살던 한 본부장은 2013년 지인의 초청으로 송파점을 방문했다가 굿윌스토어에 관심을 갖게 됐다. 그즈음 그는 은퇴를 앞두고 크리스천으로서 세상에 이바지할 것이 무엇인지 고민이 많았었다.
이듬해 그는 사업을 접고 굿윌스토어 구리점 점장으로 새로운 삶을 시작했고, 2018년 굿윌본부장에 부임했다. 경기도 고양 충정교회(옥성석 목사)에 다니는 그는 “하나님의 시선이 가장 많이 닿는 곳은 장애인일 것”이라며 “굿윌스토어에서 일하며 가장 보람을 느낄 때는 장애인, 그리고 그들의 부모가 웃는 모습을 볼 때”라고 말했다.
굿윌스토어의 목표는 단 하나다. 바로 장애인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 밀알복지재단은 2035년까지 매장을 100곳으로 늘리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한 본부장은 “이렇게 매장 규모가 커지면 굿윌스토어를 통해서만 장애인 일자리가 2000~3000개 정도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