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펠로시와 통화 “방한, 대북 억지력 징표”

입력 2022-08-05 04:03
김진표 국회의장과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4일 국회에서 회담을 가진 뒤 공동 언론 발표를 통해 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펠로시 의장은 “실질적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양국 정부의 노력을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양측은 북한의 위협 수위가 높아지는 엄중한 상황에 우려를 표했다”고 설명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사진) 대통령이 4일 한국을 찾은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과 가진 전화통화에서 “펠로시 하원의장 일행의 방문이 한·미 간 대북 억지력의 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펠로시 의장을 직접 만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에 강력히 반발하는 중국을 의식해 윤 대통령이 전화통화로 절충점을 찾은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대통령실은 “모든 것은 국익을 총체적으로 고려해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여름휴가 중인 윤 대통령이 이날 서울 서초구 자택에서 펠로시 의장과 오후 2시30분부터 40분 동안 전화 회담을 가졌다고 밝혔다.

펠로시 의장이 먼저 “윤 대통령이 첫 휴가에서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가운데 시간을 내준 데 대해 감사하다”는 인사를 건넸다. 펠로시 의장은 윤 대통령에게 “앞으로도 한·미 간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질서를 가꿔 나가자”고 제안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 서울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을 앞으로 발전시키는 데 미 의회와도 긴밀히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펠로시 의장 일행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방문 일정을 언급하며 “이번 방문이 한·미 간 대북 억지력의 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전화통화에 배석한 미 연방하원 의원단에 “각 지역구에 코리안 아메리칸 한인들에게 특별히 배려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펠로시 의장과 대면 면담을 하지 않은 것은 중국 때문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화통화 배경과 관련해 “윤 대통령이 휴가 계획을 확정한 상황에서 (펠로시 의장이 한국에 오면) 면담이 힘들지 않겠느냐고 2주 전 양해가 구해졌다”며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은 1주일 뒤에 결정됐기 때문에 우리가 만나지 않은 것은 중국을 의식해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대통령이 전화라도 따뜻한 인사를 하고 싶다는 의향을 아침 일찍 타진했다”면서 “그 말을 듣자마자 펠로시 의장이 흔쾌히 ‘감사하다’며 ‘같이 온 사람과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싶다’고 해 꽤 긴 통화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앞서 펠로시 의장은 김진표 국회의장과 회담을 하고 내놓은 공동 언론 발표에서 “강력하고 확장된 대북 억지력을 바탕으로 국제 협력 및 외교적 대화를 통해 실질적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양국 정부의 노력을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발표문에서 “양측은 북한의 위협 수위가 높아지는 엄중한 상황에 우려를 표했다”며 “한·미동맹이 군사 안보, 경제, 기술 동맹으로 확대되는 데 주목하며 포괄적인 글로벌 동맹으로의 발전을 의회 차원에서 강력히 뒷받침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진지하게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공동 언론 발표문에서 중국 문제에 대한 언급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상헌 최승욱 김승연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