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출범과 동시에 대표직을 상실할 위기에 놓였다. 이 대표가 쥔 ‘반격 카드’로는 비대위 체제에 대한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과 SNS를 통한 여론전 등이 거론된다.
이 대표와 가까운 한 인사는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를 몰아내려는 움직임이 원칙과 기준 없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당원과 국민들에게 명확하게 인식시키는 것이 우선”이라며 “법적인 대응은 상황을 지켜보며 결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이준석계’ 김용태 최고위원은 통화에서 가처분 신청과 관련해 “결정된 것은 없으며 여러 방안을 다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상식이 먹히지 않는 상황”이라며 “당과 국민을 위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중진 의원은 “이 대표가 법적 대응을 행동으로 옮길 경우 당의 운명을 법원의 판단에 의지하고 끌려가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는 서병수 의원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 대표의 법적 대응 가능성에 대해 “사실 좀 걱정된다”고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서 의원은 이어 “이 대표가 명예롭게 사퇴하고 앞으로 자기 정치 진로 등을 계속할 방안을 찾아서 매듭지어야 한다고 지도부 몇 분께 말씀드렸다”고 설명했다.
페이스북 등 SNS도 이 대표의 강력한 무기다. 이 대표는 지난 2일 페이스북을 통해 “반지의 제왕에도 ‘언데드’(undead·되살아난 시체)가 나온다”고 꼬집었다. 최고위원 사의를 밝혔으나 사퇴가 처리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최고위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배현진·윤영석 최고위원을 저격한 것이다.
젊은층이 다수인 지지자들도 지원 부대다. 이 대표는 ‘6개월 당원권 정지’ 결정이 내려진 뒤 부산, 강원, 대구·경북(TK), 제주 등 전국을 돌며 당원과 지지자들을 만나고 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 대표가 아무리 반발해도 이미 힘을 잃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재선의원은 “이 대표의 반발이 비대위 출범에 전혀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