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다중채무 자영업자 반년 만에 13만명 급증

입력 2022-08-03 04:03

3곳 이상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 자영업자가 6개월 만에 44%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출 상환 여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연소득 5000만원 미만 차주가 늘고 있어 위험 수위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출 만기연장 등 정부 지원이 중단되면 경제위기의 뇌관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일 배진교 정의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가계대출 및 기업대출 다중채무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개인사업자(자영업자) 차주 중 금융사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41만4964명이다. 전체 자영업자 차주 중 12.7%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들이 빌린 다중채무금액은 195조원으로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금액(688조원)의 약 30%에 달했다.

문제는 불어나는 속도다. 다중채무 자영업자는 지난해 말 28만6839명에서 6개월 만에 13만명(44%)이나 급증했다. 지난해 약 9만명이 늘었는데 올해는 반년 만에 이를 넘어섰다. 6개월간 쌓인 다중채무자의 빚은 지난해 1년간 증가한 금액(33조원)과 맞먹었다.


특히 소득이 낮은 차주의 비중이 늘어 위험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연소득 5000만원 미만 차주 비율은 58.7%로 지난해 말보다 2.4%포인트 증가했다. 연소득 5000만원 미만 차주 비중은 2019년 대비 8.9%포인트 증가한 반면 연소득 1억원 이상 차주(8.7%)는 6.2%포인트 감소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경기 악화로 노동 비용이 증가한 데다 최근 원재료 가격 등 비용 충격이 발생하면서 신용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있던 자영업자 중심으로 다중채무자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서 다중채무자들의 부실이 터져 나올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특히 개인사업자 대출은 일반 가계 대출보다 변동금리 및 일시 상환 비중, 단기 대출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취약 차주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배 의원은 “소상공인이 신용위기로 내몰리지 않도록 보다 적극적이고 확장적인 재정·금융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