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1일 의원총회를 열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결의했다.
이준석 대표의 ‘당원권 정지 6개월’ 중징계로 지난달 11일 의총에서 권성동 원내대표의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를 추인한 지 21일 만에 비대위 전환을 선택한 것이다.
그러나 이 대표 측이 반발할 가능성이 있어 여진은 계속될 전망이다. 비대위원장 임명을 주관하는 서병수 전국위원회 의장이 비대위 전환을 반대하고 있는 것도 변수다.
양금희 원내대변인은 이날 의총이 끝난 뒤 “최고위원들의 사퇴로 당이 ‘비상 상황’인지에 대한 의원들의 의견을 모았다”면서 “비상 상황이라는 의견에 극소수 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당규 96조에 따르면 (당이) 비상 상황일 때 비대위를 가동할 수 있다”면서 “의총은 의견을 모으는 과정이고, 실제 비대위 발족과 관련된 의결은 당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에서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의총에는 전체 국민의힘 의원 115명 중 89명이 참석했다. 이 중 88명이 현 상황을 비대위 전환이 가능한 비상 상황으로 인식했다. 권 원내대표가 당대표 직무대행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배현진·조수진·윤영석 의원이 연달아 최고위원직을 던지자 당이 비상 상황이라는 데 동의한 것이다. 이 대표와 가까운 김웅 의원만 의총에서 반대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부터 초선과 재선, 3선 이상 중진 의원들과 잇따라 간담회를 연 뒤 의총을 소집했다. 비대위 전환을 두고 당 일각에서 우려가 나오자 권 원내대표가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민의힘은 비대위 전환을 위해 조만간 최고위원회를 소집하고 상임전국위와 전국위 소집을 의결할 예정이다. 배현진·윤영석 의원의 최고위원직 사퇴가 아직 처리되지 않아 최고위 소집이 가능하다는 게 당 지도부의 설명이다.
최고위 의결이 불가능할 경우 비대위 전환의 키는 전국위로 넘어간다. 서 의장이 비대위를 반대하고 있는 점이 난관으로 거론된다. 서 의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헌·당규상 비대위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이 사실상 비대위 체제로 돌입하면서 내년 1월로 예정된 이 대표의 복귀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비대위가 이 대표 징계 종료 전에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차기 당대표를 선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대표 측이 비대위 구성을 놓고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당장 이 대표는 전국위 개최를 둘러싼 당 지도부의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고 나섰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사퇴 선언한 최고위원을 모아 ‘최고위원들이 사퇴해서 비상 상황’이라는 이야기를 표결한다는 것 자체가 제가 1년간 경험해온 논리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박세환 강보현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