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1일 의원총회를 열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일부 최고위원들과 당대표 직무대행에서 물러나기로 한 권성동 원내대표, 초선 의원 등이 비대위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최고위원들과 비대위 전환 의결 권한을 가진 전국위원회 서병수 의장 등 반대하는 이들도 있어 앞날이 순탄하지 않을 수 있다.
양금희 원내대변인은 의원총회가 끝난 후 “비대위 체제 전환에 총의를 모았다”고 밝혔다. 소속 의원들이 현재 당이 ‘비상상황’임을 공감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목소리를 낸 의원들도 적지 않다. 비대위 전환에 찬성하는 의원들 중에도 비대위 성격과 기간, 직무정지 중인 이준석 대표 복귀 여부 등에 대한 입장이 다르다고 한다. 의원총회에서는 비대위 전환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는 많지 않았지만 비대위 발족과 관련된 의결이 이뤄질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서 불협화음이 불거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민의힘의 내홍이 길어지는 것은 당원과 지지자는 물론이거니와 일반 국민들에게도 우려스러운 일이다. 국정 운영을 뒷받침해야 할 집권당이 내부 분열로 티격태격하며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민생 현안 해결은 뒷전으로 밀리게 되고 피해는 국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이 사태를 서둘러 수습해야 하는 이유다.
그러려면 선당후사의 자세가 절실하다. 작금의 사태는 당 중앙윤리위원회의 이 대표 직무정지 징계가 직접적인 기폭제가 됐지만 이면에는 당권과 공천권을 둘러싼 권력투쟁이 자리 잡고 있다는 건 삼척동자도 안다. 당 운영에 책임이 있는 인사들이 계파 논리나 사사로운 이해관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원만한 해결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통령실 직원 사적 채용 논란, ‘내부 총질’ 문자 파동 등으로 당에 부담을 준 권 원내대표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고 책임을 지는 자세를 보여주길 바란다. 징계 중인데도 SNS와 지역 순회 등을 통해 윤핵관을 비난하고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는 이 대표도 자중해야 한다. 수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자숙하는 시간을 가져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