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대구지역 절반이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분양 시기와 가격 조절 등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최근 지정한 미분양관리지역 9곳 중 4곳(중·동·남·달서구)이 대구지역이라고 1일 밝혔다. 국토교통부 6월 주택 통계를 보면 대구지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6718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주택매매 거래량도 전달에 비해 27.1%, 지난해 6월에 비해 58.9% 감소(2885건)했다.
앞서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은 미분양 문제가 심각해지자 조정대상지역 해제와 미분양관리지역 지정 등을 중앙정부에 요청했다. 또 주택정책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대폭 위임하는 제도 개선도 촉구했다. 시는 공공이 민간주택을 매입해 공공임대주택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 부동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을 검토할 계획이다.
경북 지역 미분양 물량도 4823가구로 대구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경북은 지난 3월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던 경북 경주와 포항(규제지역인 남구 제외)이 미분양관리지역으로 다시 지정됐다.
미분양관리지역은 미분양 주택 수가 500가구 이상인 시·군·구가 심사 대상이다. 미분양 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모니터링 필요 등 4개 기준 중 하나만 충족해도 지정될 수 있다. 대구 중구(6월 기준 1022가구), 동구(1384가구), 남구(720가구), 달서구(2346가구)는 미분양 해소 저조 등을 이유로 선정됐다. 수성구(844가구)도 기준을 충족하지만 조정대상지역이라 빠졌다.
4개 구는 5일부터 9월 30일까지 미분양관리지역 영향을 받는다. 사업부지 매입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분양보증 예비심사를 받아야 한다. 토지를 매입한 사업자도 분양보증을 받으려면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분양가 하락 등의 효과가 나타나지만 침체원인이 여러가지라 좀 더 지켜봐야 효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