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달에 이어 27일(현지시간)에도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았다. 이로써 미 기준금리(연 2.25~2.5%)가 한국(연 2.25%)을 2년 5개월 만에 추월했다. 올 초부터 이어진 한국은행의 선제 인상을 비웃듯 불과 몇 개월 만에 거침없는 인상으로 벌어진 것인데, 인플레 잡기가 여간 고단한 과정이 아님을 보여준다.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1%로 정점 통과 관측도 조심스레 나오지만, 물가 관리 목표인 2%대까지 내리려면 앞으로도 금리 인상 고통을 감내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미국과의 금리 차 확대로 우려되는 것은 외국인들의 셀코리아다. 하지만 수익을 우선시하는 투자자들의 속성상 불가피한 현상이라는 인식과 더불어 차분한 대응이 요구된다. 일부 경제 단체들이 한·미 금리 역전이 외환위기로 이어질 것처럼 공포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이렇게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다. 과거 세 차례 한·미 금리 역전 당시에는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오히려 늘어났다. 반면 2008년 금융위기 등 외풍에 우리 경제 취약성이 노출됐을 때 셀코리아가 일어났다. 경제 펀더멘탈만 강하다면 잠시 떠났던 외국인들이 돌아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금리 인상 위기를 경제 체질을 강화하는 구조개혁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코로나 위기를 틈타 연명해온 좀비기업까지 안고 갈 수는 없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 강화 등을 통해 타격이 큰 취약계층을 보듬는 정책으로 누수 현상을 막아야 한다. 특히 이럴 때일수록 정책 당국의 대외 리스크에 대한 대응 능력과 태도가 중요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날 보여준 솔직함과 자신감을 배울 필요가 있다. 물가를 잡기 위해 “성장을 둔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한 것이 솔직함이요, “현재 미국이 경기침체 상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미국의 경제에서 아주 잘 기능하고 있는 영역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라고 강조한 것은 자신감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기술적 분석도 중요하지만 우리 경제의 장단점을 파악해 경제주체들을 안심시킬 수 있는 수사(修辭)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