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가덕도∼해운대에 ‘드론 택시’ 뜬다

입력 2022-07-28 04:05
드론택시 볼로콥터가 지난해 11월 서울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에서 열린 '도심항공교통(UAM) 비행 시연행사'에서 시험비행을 하고 있다. 공항사진기자단

부산시가 2026년까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상용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국내 최초로 지·산·학·연·군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부산시는 27일 부산시청에서 UAM 상용화 및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협약에는 부산시와 LG유플러스 LG사이언스파크 카카오모빌리티 GS건설 GS칼텍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해군작전사령부 육군제53사단 한국해양대 부산시설공단 부산테크노파크 등 13개 기관이 참여한다. 이들은 UAM 회랑(항로)의 실제 환경 비행 연구, 권역별 수직이착륙장(버티포트) 입지 및 운용 조건 연구 등을 진행해 UAM 초기 상용화 1개 노선 이상을 조성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UAM 산업 육성 정책을 총괄해 전국 최초의 유·무인 통합 스마트 버티포트 구축을 추진한다. 또 신항(가덕도)~북항(부산역)~이기대~동백섬 등 해안로를 따라 UAM 노선을 개발하고 실증사업, 비즈니스 모델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해군작전사령부는 공역·회랑의 작전·보안성 검증과 협력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육군 제53사단은 육상 회랑과 공역 검증, 실증 지원을 맡는다.

부산시설공단은 도심 내 주차 및 차고지 시설·운용을 지원하고, 부산테크노파크는 UAM 산업 생태계 정책개발과 기업 간 융합얼라이언스 구축 및 운영을 맡는다. 한국해양대는 기초연구와 인프라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LG사이언스파크는 LG계열사의 과제 및 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LG유플러스는 UAM 교통관리시스템과 통신 인프라 상용화를 위한 기술 실증을 추진한다.

GS건설은 버티포트의 친환경 인프라 솔루션 구축 관련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GS칼텍스는 주유소 네트워크의 버티포트 활용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통합교통서비스(MasS) 플랫폼 운영 방법과 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버티포트 입지 연구 및 여객·물류 실증사업을 담당한다. 제주항공은 UAM 운항 안전 신뢰성을 조성하고, 파블로항공은 통합운항 관제시스템 연구개발과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