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시설 주민과 공유’ 정부·여야가 이끈다

입력 2022-07-27 04:03
교육부는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교육개발원 및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함께 ‘학교와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학교시설복합화’ 토론회를 열었다. 왼쪽부터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 교육부 제공

학교시설 복합화가 윤석열정부에서 지역 소멸과 도심 공동화, 신도시 교육 환경개선을 위한 해법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교육부와 국회 교육위원회 여야 의원들이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서 복합화 방식의 교육·주민 편의시설 인프라 사업의 효과를 확인하고,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방안을 논의했다.

복합화란 지자체와 교육 당국이 함께 도서관 수영장 체육관 등을 짓고 지역 주민과 학생이 시설을 공유하는 걸 뜻한다. 통상 일과 시간에는 학생이, 주말이나 방과 후에는 지역 주민이 활용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단순 시설 공유를 넘어 복합화 시설을 매개로 지역 주민이 학생 교육에 참여하는 ‘온 마을 학교’ 개념이 시도되고 있다.

교육부는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교육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 한국교육개발원과 공동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학교시설복합화’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선 학생 수가 줄어드는 농·어촌·구도심 지역, 학생이 몰리는 신도시 지역의 교육·주민 편의시설 개선 방안이 논의됐다. 이재림 한국교원대 교육정책대학원 교수는 기조 강연에서 ‘지역사회 공공 아동시설’ ‘노인공공 복지시설’ 모델 등을 제시하고 ‘마을교육공동체’ 구상을 발표했다.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저출산 고령화와 수도권 집중화 등으로 심각한 사회적 위기에 당면해 있다.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고 있지만 위기는 지속되고 있다”며 “복합화를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복합화가 활성화된 경기도 오산시를 예로 들며 “도시형 복합시설은 수영장을 필수로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생존수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수영장 도서관 돌봄센터 미래교육센터 등 4가지로 복합화의 기본 체계를 잡았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국가가 책임지고 학교시설 내에서 돌봄을 오후 8시까지 책임지면 여성들의 경력 단절도 줄어들 수 있으며 주민들의 삶의 질도 제고될 수 있다”며 “지자체와 학교 중심으로 추진하고 윤석열정부가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