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의 대중교통 이용을 개선하기 위해 ‘비접촉 교통카드 인식’ 등의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교통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된 시각장애인 이동편의’ 보고서를 통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과 사회적 공감대 형성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26일 밝혔다.
시각장애인들은 대중교통 중 특히 버스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었다. 2019년 9~10월 디지털시각장애인연대가 전국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2.8%가 가장 불편한 교통수단으로 버스를 지목했다. 버스 정차 위치와 노선번호,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등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에 따라 경기연구원은 버스 내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를 표준화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버스마다 단말기 위치가 달라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 시각장애인이 버스 탑승 지점을 쉽게 알수 있도록 시각장애인 전용 혹은 우선 대기지점을 도입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단말기의 교통카드 인식 범위를 넓혀 카드를 직접 대지 않더라도 요금 결제를 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방안도 고려돼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최근 시·군, 버스 제조업체, 버스 운영업체, 교통카드단말기 운영업체 등과 협조해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표준화에 합의했다. 도는 추후 버스업체들과 표준안을 마련해 적용할 계획이다.
지우석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도 효과가 크지만 교통약자 전용 대기지점 등은 사회 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공감이 선행돼야 하는 문제”라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