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ESG 경영 ‘박차’… 고객·사회와 상생 ‘맞손’

입력 2022-07-27 18:10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지난해 6차 보고서를 발간하고 기후 변화가 인간 활동에 따른 결과물임을 명확하게 했다. 인류가 지금 수준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면 2040년 안에 지구 온도가 1.5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3년 전 나온 연구결과보다 10년 앞당겨진 수치다. 기후 변화가 빨라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구 온도가 1.5도 오르면 지구 생태계는 회복할 수 없는 수준이 된다. 이는 인류의 파멸로 이어질 수 있다. 그래서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기업들의 ESG 활동이 점점 더 중요하게 부각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과 번영을 위해 탄소중립 같은 환경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것이다. 기업에는 당장 부담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수출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2%는 ESG 미흡으로 계약이나 수주가 파기될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SG 체계를 갖추려면 추가 비용 부담이 필요한데 중소기업의 경우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

그럼에도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려면 차질없이 ESG를 준비해야 한다. 당장 유럽연합(EU)은 올해 초 EU에 소재지를 둔 기업에 ESG경영을 강제할 수 있는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법’을 공개했다. 앞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해 EU 내에서 물건을 파는 기업에도 적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이나 국가에 탄소국경세를 매기려는 움직임도 힘을 얻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기업에 ESG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추세이고, 한국에서도 상장기업의 ESG 보고 의무화를 추진 중이다.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입장에선 제품·가격 경쟁력 뿐만 아니라 ‘ESG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같은 주요 수출품은 모두 탄소 배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에 따라 기업과 정부가 힘을 모아서 해법을 찾아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