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우조선 대표 문제를 또다시 정쟁화하는 여권

입력 2022-07-26 04:03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우조선 대표이사 등 경영진은 부실 방만 경영에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50여일 이어진 대우조선 하청노조 파업이 극적으로 타결된 뒤 회사 회생 방안 등과 관련해 경영진의 책임을 지적할 순 있다. 그런데 권 대행은 이 문제를 또다시 전 정권과 연계시키며 괜한 정쟁 거리로 몰고 갔다.

권 대행은 “지난 3월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만류에도 동생 친구인 박두선 조선소장을 대우조선 대표이사로 임명했다. 5년 동안 해결 못 했으면 다음 정부가 일할 수 있게 도와주지 못할 망정 대표이사 자리에 알박기를 했다”고 부연했다. 박 대표는 대선 이후인 지난 3월 말 주주총회를 통해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그러자 인수위에서 박 대표의 임명을 비판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인수위 주장에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박 대표는 대우조선에서만 36년을 근무해 온 조선업 전문가다. 노조뿐 아니라 사측에서도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 합병 무산 이후 흔들리는 회사 위상을 바로 잡을 적임자로 봤다. 대통령 동생과 대학 동문이라는 점을 들어 ‘임기말 정실인사’로 규정하기엔 근거가 미약했다. 인수위발 신구 권력 신경전 소재의 하나 정도인 사안을 갑자기 권 대행이 다시 들먹인 것이다.

대우조선 문제는 난마처럼 얽혀 있다. 지금까지 11조여원의 혈세를 지원받고도 누적 손실이 7조원이 넘는다. 보수, 진보 정권을 거치며 매각·합병 무산, 분식회계 등이 이어지면서 표류했다. 특정 정부만의 책임으로 보긴 힘들다. 파업 이후 대우조선이 나아가야 할 방향, 예를 들어 분리매각 등 민영화 방식에 대한 논의와 분석이 급선무다. 파업으로 새삼 알려진 조선산업의 원·하청 문제에 대한 해법 마련도 필요하다. 정치권은 대우조선뿐 아니라 전체 조선업의 미래와 발전을 위해 법적 제도화 및 시스템 마련에 주력해야지 진영 싸움을 부추길 때가 아니다. 여당의 ‘기승전 전 정부탓’ 프레임에 대한 국민 피로도가 높다. 특히나 대통령실 사적 채용 의혹 당사자가 ‘알박기’ 운운하는 것은 낯간지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