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방폐물) 처리 부지를 2036년까지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방폐물 처리 부지에 대한 적합성 조사 지침을 개발한다. 심층처분시설이 확보되는 2060년까지 방폐물 관련 연구·개발(R&D)에 1조4000억원을 들여 447개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일 공개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에 따르면 정부는 방폐물을 저장하거나 처분할 부지를 2036년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고준위 방폐물이란 알파선 방출 핵종 농도가 g당 4000베크렐(Bq) 이상, 열 발생량이 ㎥당 2kW(킬로와트) 이상인 폐기물로, 주로 원전에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를 의미한다. 현재까지는 주로 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을 만들어 보관해왔지만, 이 저장시설이 포화되면 사용후핵연료 처리할 대책이 마땅치 않은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정부는 우선 2030년까지 방폐물 운반 및 저장시스템 설계와 제작기술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또 가장 시급한 방폐물 처리 부지 선정에 대해서는 당장 내년에 적합성 조사 지침을 개발한 뒤 부지 공모를 2년간 진행한다. 공모된 지역에 대한 기본조사(5년)와 지질환경이나 생태계, 기후변화 예측 등 심층조사(4년)를 거쳐 가장 환경 영향이 적은 부지를 찾는다는 계획이다.
방폐물을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도록 지하연구시설을 포함한 ‘한국형 처분시스템’을 2040년까지 단계적으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지하연구시설 마련에 4936억원을, 나머지 R&D에 9002억원을 각각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에서 투입한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