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한·미동맹의 ‘경제금융안보 동맹’ 강화 등을 논의했다.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 위기 속에 윤 대통령이 옐런 장관을 만난 만큼 한·미 간 경제협력 증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용산 집무실에서 옐런 장관의 예방을 받고 “경제안보 동맹 강화 측면에서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다양한 방식의 실질적 협력 방안을 양국 당국 간 깊이 있게 논의해 달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를 통해 한·미 안보 동맹이 정치군사 안보와 산업기술 안보를 넘어 경제금융 안보로 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대통령실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양국의 상대적 통화가치가 안정될 수 있도록 미국도 협력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외환시장과 관련한 긴밀한 협의’를 합의했던 것의 연장선에서 나온 것이다.
윤 대통령과 옐런 장관은 최근의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해 논의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전 세계 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현재 위기는 어느 한 국가만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쉽지 않고 국가 간 연대와 협력에 기반을 둔 공동의 노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국제 공조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가격 안정과 공급망 애로를 해소해 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 한·미 양국이 공동의 목표하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옐런 장관은 “미국은 한국과의 이런 긴밀한 파트너십에 대해서 깊은 가치를 부여한다”고 화답했다.
이날 예방에서 추가적인 대북제재 등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옐런 장관은 윤 대통령을 예방한 데 이어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한·미 재무장관 회의를 갖고 최근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기재부는 회의 종료 후 추 부총리와 옐런 장관이 한·미 양국 간 외환시장 협력 강화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외환시장과 관련해 협력에 합의하면서 “한·미 양국이 필요하면 유동성 공급 장치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실행할 여력이 있다”는 인식을 공유했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향후 한·미 통화스와프 재체결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추 부총리는 “현재 한국의 외화유동성은 안정적인 상황”이라면서도 “유사시에 대비해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면밀히 재정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윤 대통령 접견에 앞서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내 LG화학 마곡 R&D 캠퍼스를 찾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방한 때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방문한 것처럼 옐런 장관도 한국 기업을 찾은 것이다.
옐런 장관은 서울 중구 한국은행을 방문해 이창용 총재와 회담을 가졌고, 한은 여성 직원 30여명과 ‘경제학계와 여성’을 주제로 대담했다.
이상헌 기자, 세종=신준섭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