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공석 北인권대사에 이신화 고대 교수

입력 2022-07-20 04:04

정부가 2017년 9월 이후 약 5년간 공석이었던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에 이신화(사진)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임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19일 국무회의에서 이 교수를 북한인권대사로 임명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이에 대해 강인선 대통령실 대변인은 “국제사회와의 협력 속에서 북한 인권 개선에 주도적으로 나서겠다는 윤석열정부의 뜻이 잘 표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도 “우리 정부의 북한 인권 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협력을 견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사는 북한 및 국제협력 관련 저서와 연구논문을 다수 집필했고 유엔 르완다 독립조사위 사무총장 특별자문관, 유엔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 자문위원, 한국유엔체제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앞으로 북한 인권과 인도적 상황에 대해 외국 정부나 국제기구 등과 협력하면서 세미나·설명회 등을 통해 북한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할 예정이다.

북한인권대사는 전문성과 인지도를 갖춘 민간 인사에게 대사 직명을 부여해 외교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대외직명대사’의 하나다. 2016년 9월 발효된 북한인권법에 따라 이정훈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초대 대사로 임명돼 2017년 9월까지 활동했다. 그러나 문재인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에 소극적이었던 탓에 후임 대사 임명이 이뤄지지 않았다.

대통령실은 북한인권재단 출범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강 대변인은 “북한인권재단은 북한인권법 이행을 위한 핵심 기구인데, 지난 정부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국회가 이사를 추천하지 않아 출범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정부 측 인사를 우선 임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인권재단을 설립하려면 정부가 2명, 여야가 각 5명의 이사를 추천해야 한다. 강 대변인은 “국회 원 구성이 완료되는 시점에 이사 추천 협조를 여야에 강력히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