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의 교섭 테이블이 차려졌다. 47일째 불법 파업을 이어가는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동조합(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은 사측 및 원청업체 노사와 협의에 들어갔다. 원청업체(대우조선) 노사가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경남도는 조속한 사태 해결을 외치고 있다.
이미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대우조선 야간근로자는 부분휴업에 들어갔고, 협력업체들은 잇따라 도산에 내몰렸다.
18일 대우조선 등에 따르면 원청업체 노사와 하청업체 노사는 지난 15일부터 사태 해결을 위한 협의에 들어갔다. 이번 4자 간담회는 원청업체 노조인 대우조선지회 제안으로 마련됐다. 원청업체는 하청업체 임금협상에 개입할 권한이 없는 만큼 구체적인 협상은 아니다. 하청지회 요구안에 따라 원청이 조율할 게 있으면 대우조선 측에서 참석하는 형식이다.
논의가 진전을 보는 건 아니지만 원·하청 노사는 사태 해결의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우조선의 여름휴가가 시작되는 오는 23일까지 협상 타결을 바라는 분위기다. 다음 달 7일까지 여름휴가 동안 필수인력을 제외한 원·하청 직원 2만여명은 출근하지 않는다.
하청지회는 지난달 2일부터 대우조선의 거제조선소 1독(dock)을 점거하며 파업 중이다. 하청지회는 조선업 경기 악화로 사실상 줄어든 실질임금을 제대로 반영하라며 임금의 30% 인상을 요구한다. 개별교섭이 아닌 집단교섭, 노조전임자 대우 등을 원한다. 협력업체 대표들은 원청업체도 수년간 임금이 동결됐거나 1%대 인상에 그쳤다고 주장한다.
피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1독에서 건조 중인 선박은 4척이다. 모두 무기한 인도를 연기하고 있다. 2독, 플로팅독 등에서도 영향을 받는다. 선박 진수 지연은 하루에 매출 260여억원 감소, 고정비 손실 60여억원을 발생시킨다. 현재까지 피해액은 7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추산한다.
손실 증가로 대우조선 야간근로자 570명은 18~19일 부분휴업에 돌입했다. 독 크레인 장비 운용담당, 공장 블록 생산 직원들이다. 휴업 기간에 휴업수당으로 평균임금의 70% 수준을 받는다. 대우조선 협력업체 7곳은 이미 폐업했거나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협력업체 113곳 가운데 ㈜진형, 동광기업㈜, 영일산업㈜이 지난달 30일 문을 닫았다. 오는 31일 수호마린㈜, 용강기업㈜, ㈜삼주가 폐업하고 혜성기업은 다음 달 18일에 영업을 정지할 예정이다.
지역사회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실국본부장회의를 열고 “대우조선 파업 장기화는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우려했다. 박 지사는 “최근 협상이 진행 중이다. 경남도 관련 부서, 거제시 등이 협력해 조기 해결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