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민생문제를 다룰 민생특위 구성에 합의했다. 해답을 찾지 못하는 원 구성 문제에 매몰되기보다는 이견이 없는 의제부터 처리하자는데 모처럼 뜻을 같이했다.
국회 공백 상태가 18일로 50일째 이어진 상황에서 여야 모두 민생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의식한 조치다.
여야는 20일 국회 본회의를 열고 ‘민생경제안정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처리하기로 이날 합의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실에서 김진표 국회의장 주재로 회동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여야는 민생특위 구성과 관련해 국민의힘 6명, 민주당 6명, 비교섭단체 1명 등 모두 13명의 위원을 두기로 했다. 위원장은 국민의힘이 맡는다.
민생특위는 유류세 인하폭 추가 확대,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 부동산 관련 제도 개선, 직장인 식대 부분 비과세 확대, 안전운임제 지속, 대중교통비 환급 등 민생과 직결된 사안을 다룰 예정이다.
여야는 또 국회 일부 일정에도 합의했다. 20일 민주당, 21일 국민의힘 순으로 이틀간 교섭단체 연설을 하기로 했다. 25~27일에는 대정부 질문이 열린다. 25일엔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26일 경제 분야, 27일 교육·사회·문화 분야의 대정부 질문이 각각 진행된다.
앞서 민주당은 민생 입법 처리의 시급성을 이유로 민생특위 및 인사청문특위 구성을 요구해 왔다. 국민의힘은 원 구성 협상의 교착상태가 이어지자 원내교섭단체 대표연설과 대정부 질문을 먼저하고 그 이후에 상임위원장을 뽑는 방안을 민주당에 제안했다. 원 구성에 대해선 여전히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여야 모두 타협이 가능한 부분에서는 절충점을 찾은 것이다.
이와 관련해 여야 원내대표는 원 구성 협상을 21일까지 마무리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여야는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와 행정안전위원회 등 2개 상임위 배분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상태다.
권 대행은 회동을 마친 뒤 “일단 국회는 문을 열고 출발을 한다”며 “그사이 상임위원장 배분에 대한 여야 합의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