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올해 공공요금을 모두 동결하는 등 5700억원 규모의 민생경제 안정 대책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생활물가를 잡기 위해 시가 관리하는 도시철도, 시내버스, 택시, 도시가스, 상·하수도 등 공공요금 7종을 모두 동결하기로 했다.
또 농축산물 산지 집하 활동 및 부정 유통 방지 단속을 강화하고 수산물 비축물량 출하를 통해 수급관리에 나선다. 현재 부산시청과 북부산 하나로마트 두 곳에서 운영하는 직거래 장터도 10곳으로 대폭 확대해 유통단계 축소에 따른 가격 안정을 추진한다. 기업의 금융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00억원 규모의 긴급 경영 안정 자금을 마련하고 이자 차액 2%를 지원한다. 이달 만기 되는 대출자금 1600억원도 상환기간을 6개월 연장한다. 창업기업과 법인 택시 업체, 자동차 부품기업에는 각각 특례 보증 150억원과 200억원, 375억원을 지원한다.
생계비 부담이 커진 취약계층을 위한 안전망 강화에도 나선다. 식자재 가격 인상을 반영해 저소득층 아동의 한 끼 급식 단가를 7000원에서 8000원으로 인상한다. 노인 무료 급식 단가도 한 끼에 500원씩 인상한다. 한부모가족 초등학생 자녀에게는 연 8만원 수준의 학용품비를, 중·고교생에게는 통학 교통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저소득층 긴급생계비 지원 대상도 1050명에서 2100명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공공근로 사업 참여 인원을 1000명에서 226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소비 촉진·판로 사업도 확대한다. 지역 관광업계 활성화를 위해 비수기 외국인 관광 활성화(5억원)와 관광선결제 사업(10억원), 여행사 인센티브(4억원) 지원 등을 추진한다. 또 중소기업 지역 제품의 판로개척과 대형유통업체와의 상생을 위해 특별판매전, 온라인기획전, 정기적인 플리마켓 등 다양한 형식의 판매전을 추진한다. 아울러 부산지역 화폐인 동백전과 동백통을 통한 이벤트로 소비를 장려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시가 가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자원과 역량을 동원해 민생안정 대책을 마련했다”며 “이번 대책이 민생안정과 위기 극복의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