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4일 국회 원 구성 협상 과정에서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장 자리를 놓고 날선 신경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문재인정부에서 공영방송이 편파적인 모습을 보였다며 과방위원장 자리를 내줄 수 없다고 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의 공영방송 장악 시도라며 반발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KBS와 MBC 모두 민주노총 산하의 언론노조가 좌지우지하는 방송 아니냐”고 말했다.
권 대행은 YTN 인터뷰에서도 “문재인정부에서 언론 권력과 민주당 권력이 유착됐다는 것을 많은 국민이 의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 중간에 누가 있나.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이 있다”며 “특정 방송을 얘기하지 않겠지만 방송의 편파성에 대한 비판이 굉장히 많았다”고 주장했다.
과방위는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MBC의 최대 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KBS 등을 피감기관으로 두고 있어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편 등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문재인정부 때 민주당이 과방위를 통해 공영방송을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길들였다는 게 여당의 인식이다.
민주당은 ‘공영방송 장악 시도’라며 비판을 쏟아냈다. 이수진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공영방송이 특정 집단에 의해 좌지우지될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반드시 방송 장악을 하겠다는 강한 의지로 해석된다”고 지적했다.
전반기 국회 과방위 민주당 간사를 지낸 조승래 의원은 성명에서 권 대행 발언을 두고 “공영방송에 대한 무지몽매한 인식이자 윤석열 정권의 비뚤어진 언론관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발언”이라며 “검찰 경찰 국가정보원 등 권력기관을 장악한 데 이어 방송사까지 점령하려는 의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투톱’인 권 대행과 장제원 의원은 당 윤리위원회의 이준석 대표 징계 정국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서로 간의 불화설을 진화하는 데 부심했다.
권 대행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을 만나 “장 의원과는 사이가 좋다. 내일(15일) 점심을 같이하기로 했고 수시로 통화도 한다”며 “장 의원이 ‘한번 형은 영원한 형’이라고 했던 것처럼 ‘한번 동생은 영원한 동생’”이라고 말했다.
장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저는 현 상황에 대해 한마디도 한 적이 없다. 무엇이 갈등이고 불화인지 모르겠다. 조용히 지켜볼 뿐”이라고 밝혔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