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3일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을 50대까지 확대키로 했지만 실효성엔 물음표가 뒤따른다. 대상 확대로 인한 이득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백신에 대한 불신이 해결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역 당국은 4차 접종 대상 연령대를 확대한 이유로 ‘중증·사망 예방’을 꼽았다. 50대도 고령층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한 빈도로 기저질환을 앓아 코로나19에 취약하며 실제 치명률도 100만명당 41명꼴로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감염 예방 효과가 제한적이란 점은 분명히 했다. BA.5 등 면역을 회피하는 변이가 상당부분 퍼진 뒤라서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현재 백신은 변이에 대한 감염 예방 효과가 낮고 지속 기간도 길지 않다”며 “하지만 중증·사망 예방효과는 상당 기간 유지된다”고 강조했다.
홍콩 등 해외 사례처럼 모든 성인에 접종 기회를 부여하지 않고 제한적 확대에 그친 이유론 같은 논리를 들었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기저질환이 없는 49세 이하는 중증·사망 고위험군이 아니기에 현재 접종을 검토치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나치게 대상을 넓히면 국민 피로감만 높아져 추후 맞춤형 개량 백신을 접종할 때 악영향을 끼칠 것이란 우려도 작용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진짜 고위험군에만 권고하는 게 수용성 면에서 낫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제한적 확대도) 전처럼 사회적 거리두기를 동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핵심 대책이 빠졌다는 시각도 있다. 연령은 확대에도 정작 답보 상태인 접종률을 끌어올릴 방안은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11일 기준 60세 이상 4차 접종률은 대상자의 35.7%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백신에 대한 신뢰 회복이 관건이라고 말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유인 동력이 없는 한 백약이 무효”라며 “60세 이상의 4차 접종률을 높일 방안이 더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지난달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이 전국 성인남녀 1006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2.7%가 백신 접종 결정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1~3순위 합산)으로 ‘안전성’을 꼽았다. 바이러스 자체의 심각성, 감염 가능성은 각각 37.8%, 37.1%에 그쳤다.
정부는 다음 주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지원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백신 접종과 피해의 인과성이 불분명한 경우에 지원하는 의료비·사망위로금 상향을 추진하고 부검 후 사인 불명일 때 위로금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