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파업에 진수 중단… 대우조선, 수주 호황 찬물

입력 2022-07-12 04:06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협의회 회원들이 11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집회을 열고 하청지회 노조의 파업 중단을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이 한달 넘게 지속하는 하청지회 노조의 파업에 따른 피해 장기화를 호소하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는 지난해 말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주축으로 수주 호황을 누리는 중이다. 대우조선은 이번 파업으로 생산 일정에 차질이 생길까 노심초사하는 실정이다.

대우조선 임직원 30여명은 11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엄정한 법 집행을 통해 핵심 생산시설을 점거하고 있는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를 해산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실현 불가능한 요구사항을 내세우며 조선소의 핵심 생산시설인 도크를 점거하고 생산을 방해하는 불법 파업을 한달 넘게 자행하고 있다. 생산 차질이 계속되면 대외 신뢰도 하락 및 천문학적 손실 등으로 대우조선이 회생 불능에 빠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대우조선 협력업체협의회 소속 50여명은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정문에서 집회를 열고 “하청지회 일부 조합원의 불법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생산중단과 매출 축소로 원 하청업체 모두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협력회사 중 직접적 영향으로 폐업하는 회사가 속출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대우조선에 따르면 민주노총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하청지회는 지난달 2일부터 대우조선 협력사를 대상으로 임금 30% 인상, 상여금 300% 인상, 노조전임자 인정, 노조사무실 지급 등을 요구하며 전면파업에 들어갔다. 지난달 22일부터 하청지회 노동자 7명은 경남 거제시에 있는 조선소 1도크를 점거해 농성 중이다. 이에 1도크에서 건조한 원유운반선의 진수 작업은 중단된 상태다. 진수 작업을 장기간 중단하기는 1973년 조선소 창립 이후 처음이다.

대우조선은 비상경영에 돌입했다. 박두선 대우조선 사장은 지난 6일 담화문을 내고 생산일정 조정 및 긴축경영을 선언했다. 박 사장은 지난 7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금 피해가 대우조선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라 전체 조선업으로 확산해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했다.

대우조선에선 이번 파업이 최근 수주호황의 발목을 잡을까 우려한다.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들어 수주량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며 달리고 있는 중이다. 대우조선 임직원은 “하청노조의 불법 파업으로 하루에 매출 감소 260억원, 고정비 손실 60억원이 발생한다. 지난달 말까지 2800억원이 넘는 손실을 입었다. 파업이 계속되면 LD(인도 일정 미준수에 따른 지체보상금)까지 포함해 피해 규모가 더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