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소비자 사이에서도 주택 매매가격 하락 전망이 상승 전망을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은 자체 조사 결과, 응답자 10명 중 6명이 올해 하반기(7~12월) 주택 매매가격의 하락을 예측했다고 11일 밝혔다. 직방은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4일까지 앱 이용객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을 진행했다. 전체 응답자 1727명 중 61.9%가 올해 하반기에 자신이 거주하는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별로 서울(63.2%)과 경기도(63.7%), 인천(61.0%) 등의 수도권은 하락 전망 응답이 60%를 넘었다. 반면 지방 5대 광역시(부산·대구·광주·울산·대전)와 기타 지방의 하락 전망 답변은 각각 59.5%, 58.0%로 60%를 밑돌았다.
주택 매매가격이 떨어진다고 관측한 이유로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63.9%)가 가장 많았다.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에 따른 수요 감소(15.0%)’ ‘물가 상승 부담과 경기 둔화(12.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4.7%)’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하반기 전셋값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40.7%가 하락을 예상해 상승(35.1%) 답변보다 많았다. 직방은 “추가 금리 인상, 물가 상승, 경기 둔화 등의 외부 요인이 계속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주택 매수세 위축도 이어지면서 하반기 주택 매매가는 하향 조정될 것”이라면서 “전셋값은 상승과 하락의 혼조세 속에서 신규 입주 물량에 따라 국지적인 차이를 보일 것이고, 월세는 상승세가 유지되면서 서민의 주거비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