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최측근 의원 모임 ‘7인회’ 멤버인 문진석(사진) 의원은 이 의원의 당대표 선거 출마와 관련해 “이 의원 외에는 다른 리더가 없다”고 말했다.
문 의원은 9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새로 구성될 지도부는 당원과 국민의 지지를 전폭적으로 받아 정부와 여당의 실정을 지적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강한 야당을 만들어야 한다”며 “행정 경험은 물론 민심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리더가 이재명 외에 누가 있느냐”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이번 전당대회 출마가 이 의원 개인에게는 가혹한 일일 수 있지만, 당을 위해 이 의원이 직접 나서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연이어 당권 도전을 선언한 97그룹(90년대 학번·70년대생)에 대해 문 의원은 “이재명이라는 강한 구심점이 이미 당내에 있기 때문에 그들이 구심점이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다.
‘이 의원 출마 시 계파 갈등이 심화될 것’이라는 비명(비이재명)계 주장에 대해 문 의원은 “그들의 주장은 국민으로부터 큰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라며 “그들의 우려대로 이번 전당대회가 극심한 계파 갈등으로 치닫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어 “이재명계라는 것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문 의원은 “이번 전당대회에선 민주당이 누구를 위한 정당이고, 무엇을 추구하는 정당인지, 또 국민을 위해 민주당이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를 놓고 치열하게 논쟁해야 한다”고 말했다.
검찰과 경찰의 대장동·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 관련 수사를 놓고 비명계가 ‘사법 리스크’ 우려를 제기하는 것에 대해선 강하게 반발했다. 문 의원은 “사법 리스크를 제기하는 것은 지난해 대선 경선 때로 돌아가자는 얘기”라며 “대선 패배의 원인 가운데 하나가 내부의 네거티브였는데, ‘경선 시즌2’로 돌아가자는 것은 결국 당을 망하게 하자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 거론되는 대장동·백현동·성남FC 수사는 모두 정치적 수사”라며 “이 의원이 아니더라도 누군가 정치적 수사를 당한다면 거당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 의원 측근 그룹의 최고위원 선거 출마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문 의원은 “논의는 했지만, 누가 출마해야 한다고 결정한 것은 아니다”며 “다만 이 의원과 가까운 사람들로 지도부가 채워져선 안 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전했다. 문 의원 본인의 최고위원 출마 여부에 대해선 “지역구(충남 천안갑)의 정치적 상황이 어렵고, 또 초선이기 때문에 지역 주민과 더 소통해야 할 때”라며 불출마 의사를 분명히 했다.
문 의원은 최근 전당대회 경선 규칙과 관련한 당내 신경전에서 친명(친이재명)계가 압승했다는 평가에 대해선 “민주당이 시대 흐름에 맞는 상식적인 길로 가는 것일 뿐, 특정 계파의 승리로 평가해선 안 된다”며 “종국에는 당원 1인 1표제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