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이준석 대표의 ‘성상납 관련 증거인멸교사’ 의혹에 대한 당 윤리위원회의 징계 결정보다 그 이후 몰아칠 후폭풍을 더 우려하고 있다.
이 대표가 징계를 받고 이에 불복해 법적 대응에 나설 경우 윤리위 사태는 장기화될 전망이다.
이 대표에 대한 징계가 확정될 경우 2030세대가 국민의힘에 등을 돌릴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대표가 징계를 수용해 당대표 자리에서 물러나도 차기 당대표 선출 문제를 놓고 극심한 내부 분열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이 ‘포스트 윤리위’ 국면을 어떻게 수습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7일 “무혐의 이외의 결정은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경고 이상의 징계를 받을 경우 윤리위에 재심을 청구하고, 법원에 징계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하는 등 결사항전 태세에 나설 방침이다.
만약 이 대표가 마음을 바꿔 물러난다면 국민의힘은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새 대표를 뽑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때 선출되는 대표의 임기는 이 대표 잔여 임기인 내년 6월까지다. 2024년 4월 총선 공천권을 쥐지 못하는 것이다.
당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릴 가능성도 있다. 올 연말까지 권성동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비대위 체제를 유지하고, 내년 상반기 이후 새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를 열자는 아이디어도 나온다.
김기현·안철수 등 차기 당권 주자들의 세몰이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계파 갈등이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윤리위 이후 당권을 둘러싸고 친윤계와 비윤계가 한판 붙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 대표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저는 증거인멸을 한 적이 없다”며 결백을 호소했다. 김 정무실장은 “(윤리위가) 증거인멸 사실을 확정하지 못하면서 증거인멸 ‘의혹’과 관련된 품위유지의무 위반이 징계 사유가 되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제가 (성상납 제보자) 장모씨에게 7억원 투자유치 각서를 써준 것은 호의로 한 것이고, 개인적인 일”이라며 “이 대표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