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의 스텔스 전투기 F-35A, 해군의 3000t급 잠수함, 육군의 현무 미사일 등 각 군이 별도로 운용해온 핵심 전력을 총괄 운용하는 ‘전략사령부’가 2024년 창설된다.
국방부는 6일 윤석열 대통령이 충남 계룡대에서 주재한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구축하기 위해 전략사령부를 단계적으로 창설하고, 한국형 3축 체계에 대한 효과적인 지휘 통제와 체계적 전력 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대북 방어력과 공격력을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각 군이 따로 운용해온 전력을 새로 창설되는 전략사가 통합 운용하는 지휘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전략사 창설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된 내용이다.
전략사는 한국형 3축 체계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3축 체계란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을 탐지했을 때 선제타격으로 무력화하는 ‘킬체인(Kill-Chain)’, 북한 미사일을 요격하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 적 지휘부를 제거하고 주요 전략시설을 파괴하는 ‘대량응징보복(KMPR)’을 뜻한다.
이에 따라 전략사는 3축 체계의 핵심 전력인 스텔스 전투기 F-35A와 3000t급 잠수함 등을 지휘할 전망이다. 육군 미사일전략사령부가 운용하는 탄도·순항미사일인 현무 시리즈, 공군 미사일방어사령부가 운용하는 패트리엇(PAC-3)·천궁-2 등 요격미사일도 전략사가 통합 지휘할 가능성이 크다. 군 당국은 사이버전 수행 전력과 우주 전력도 전략사의 지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도 구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전력은 육·해·공군에 소속돼 있으나 전·평시 작전 지휘는 전략사를 통해 이뤄질 전망이다.
군 관계자는 “합동참모본부 내 ‘핵·WMD(대량살상무기) 대응센터’를 확대 개편해 전략사를 창설하고, 사령관의 계급도 최소 3성 장군 이상으로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자산들이 전략사에 통합돼 운용될지는 더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날 회의에서 한국형 3축 체계 능력을 집중적으로 확충해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자체적 억제력과 대응 능력을 강화하겠다고 보고했다. 또 정찰위성과 무인정찰기 등을 통해 감시정찰(ISR) 능력도 확충해 북한 전역에 대한 독자적 영상·신호정보 수집과 정보융합 능력을 갖출 것이라고 밝혔다. 인공지능(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 신속 전력화, 군 간부 근무 여건 개선, 야전 지휘관의 지휘권 보장,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 보훈 등 국방 현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회의에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김승겸 합참의장, 박정환 육군·이종호 해군·정상화 공군참모총장, 김태성 해병대 사령관, 엄동환 방위사업청장, 박종승 국방과학연구소장, 군단장급 이상 주요 지휘관 등이 참석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