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주소정책의 핵심을 담은 ‘제1차 주소정보 활용 집행계획’을 세워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시는 우선 광주 도심 전역의 이동 경로와 접점을 촘촘하게 표시한 디지털 주소정보(전자지도)와 건물번호판 등 주소정보 기반을 2배 이상 확충한다.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생태계를 구축해 주소정보 산업 창출에 대비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그동안 주소정보가 부여되지 않았던 전기차 충전소와 노상주차장을 포함해 전체 건물과 공간은 물론 주요 사물 등 모든 접점에 국가 주소를 주기로 했다. 지역 편차 없이 고른 주소정보를 갖춰 시민 서비스를 강화하고 노약자 등 주소 활용 취약계층을 배려하는 차원이다.
실내 내비게이션과 전동 휠체어 내비게이션 등의 활용도 역시 강화된다. 또 도매시장 등 종전 도로명주소 미부여 사업장에도 주소를 부여해 이용자들의 정확한 사업장 위치 찾기를 돕고 노점과 농로 등에도 소상공인·농업인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밖에 도시재생 등과 연계해 편의 기능이 추가된 주소정보 시설도 추가 설치하고 도로명 주소가 없는 등산로 등에는 국가지점 번호판을 확충할 계획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