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현(사진) 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저에겐 이미 피선거권이 있다”면서 민주당 당대표 선거 후보 등록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박 전 비대위원장은 입당 6개월을 채우지 못해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라 피선거권이 없다는 비대위 결정에 대해 공개적으로 불복 입장을 밝힌 것이다.
박 전 위원장은 5일 페이스북 글에서 “저는 피선거권을 부여받아 선출된 비대위원장이었고, 그동안 민주당이 제게 준 피선거권을 박탈한 적이 없다”며 당 지도부에 명확한 유권해석을 요청했다. 박 전 위원장은 이어 “다른 언급이 없으면 국민께 약속한 대로 (당대표 선거) 후보 등록을 하겠다”고 압박했다.
이에 대해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광주에서 기자들과 만나 “예외를 인정하지 않기로 한 결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선거권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민주당에서는 ‘박지현 출마 무산’ 여진이 계속됐다. 특히 박 전 위원장은 비대위의 출마 불허 결정과 관련해 ‘이재명 배후론’을 제기했다.
박 전 위원장은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제가 출마 결심을 밝힌 뒤 김남국 의원이 제 출마를 막으려 집중 비판했다”며 “아시다시피 김 의원은 이재명 의원의 최측근이자 대리인이라 이번 결정에 이 의원의 의중이 충분히 반영됐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 전 위원장은 4일에도 페이스북에 “이재명 의원께서 피선거권도 없는 제게 수차례 전화를 걸어 공동비대위원장에 앉혔던 그 조항이, 그때는 공정이었지만 지금은 불공정이라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한 친명 의원은 “상식적으로 우리가 박 전 위원장의 출마를 막을 이유가 없지 않으냐”면서 “말도 안 된다”고 반박했다.
비명(비이재명) 진영은 ‘박지현 후폭풍’을 고리로 ‘이재명 때리기’에 나섰다. 범친문(친문재인)계로 분류되는 이원욱 의원은 페이스북 글을 통해 “민주당은 박지현을 토사구팽하려는 것이냐”고 주장했다. 친문 재선 의원은 “이재명 의원이 지방선거 때 억지로 박 전 비대위원장을 공동비대위원장에 앉히더니, 통제가 안 되니까 이제는 친명계가 박 전 위원장을 때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