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부문의 글로벌 공급 차질이 한국의 물가 상승세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한국은행 보고서가 나왔다.
한은은 4일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의 특징 및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유지, 글로벌 식량수급 불안 가능성 등으로 향후 공급 차질 전개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이런 리스크가 현실화되면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물가 오름세가 심화되고 생산에 대한 영향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은 한국의 산업 전반에서 투입 비용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생산자물가 통계에서 공산품으로 분류된 품목 중 가격 상승률이 5% 이상인 품목의 비중이 올해 들어 50%를 넘은 상태다. 10% 이상 오른 품목도 40% 안팎이다.
자동차와 건설, 기계장비 등 일부 산업에선 부품과 자재 수급 차질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다만 보고서는 “우리나라는 방역상황이 비교적 양호한 가운데 부품 내재화, 재고관리 노력 등으로 생산에 대한 영향이 다른 나라에 비해 크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