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줄이기 나선 부산시, 북-남항에 드론 띄워 감시

입력 2022-07-05 04:03
부산시와 해양·항만 관련 기관들이 깨끗한 부산 바다 조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좌측부터 한국해양공사 사장 김양수, 부산항만공사 사장 강준석, 박형준 시장,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한기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 김종덕. 부산시 제공

부산시와 해양·항만 관련 기관들이 깨끗한 부산 바다 조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부산시와 해양환경공단,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진흥공사는 4일 부산 연안 해양쓰레기 저감과 관리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을 통해 부산시는 해양쓰레기 저감 실무협의체를 구성·운영한다. 또 과학기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관리 시범사업을 주도하기로 했다.

해양환경공단은 부산지역 해양쓰레기 발생·수거 정보 공유와 처리 지원, 해양폐기물 재활용 시범사업 협업, 반려 해변 프로그램, 해양환경 교육 등을 지원한다. 부산항만공사는 북항 내 해양쓰레기를 상시 수거하고, 항만 내 폐플라스틱 수거와 처리체계 개선을 담당한다. 아울러 연안 정화 캠페인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해양쓰레기 저감 관련 실용적 정책연구와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해양환경 교육 관련 인적자원과 정보를 교류하기로 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면서 해양환경 보호 캠페인에도 적극 동참한다.

부산은 낙동강 하구에 위치해 낙동강 상류에서 흘러드는 각종 쓰레기로 큰 비용을 치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만 수산 시설이 존재하고, 해양레저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해양쓰레기 발생이 많다. 그런데도 국가무역항, 국가 어항, 연안 어항, 연안육역 등에 대한 관리청이 서로 다르고, 관할 면적이 넓어 수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부산시를 포함한 협약기관은 실무협의체 운영을 통해 부산 연안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협력과제를 발굴해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특히 올여름에는 북항과 남항 일대를 중심으로 드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감시 시범사업에 착수해 체계적인 해양쓰레기 관리·대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해양쓰레기 시민 캠페인도 함께 추진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이 해양 관광도시로 자리매김하고 해상스마트 시티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서라도 해양쓰레기 문제는 해결이 절실하다”며 “쓰레기 없는 깨끗한 부산 바다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