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1월 17일 시행된다. 지난해에 이은 두 번째 문·이과 통합형 수능으로 ‘문과 침공’ 현상이 재현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3학년도 수능 시행 세부 계획’을 3일 공고했다. 국어와 수학 영역은 ‘공통+선택과목’ 체제로 치러진다. 수험생들은 공통과목을 응시하고 국어는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수학은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가운데 한 과목을 선택하게 된다. 문·이과 수험생이 국어와 수학에서 경쟁하는 구조다.
지난해엔 이과 수험생들이 수학 점수 우위를 바탕으로 상위권 대학 문과 전공으로 지원해 문과 수험생들을 밀어내고 합격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올해도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은 등급만 공개하는 절대평가다. 탐구 영역은 사회와 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중에서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한다.
직업탐구 영역도 6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4교시 한국사·탐구 영역 시험에선 수험생에게 한국사와 탐구 영역 답안지를 분리해 제공한다. 한국사는 필수로 응시하지 않으면 수능 응시 자체가 무효다.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지침은 감염병 추이 등을 반영해 추후 결정한다. 성적표는 12월 9일 배부될 예정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