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간망에 ‘양자암호기술’ 해킹 우려 차단

입력 2022-06-29 18:15
정부 관계자가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열린 ‘국가융합망 양자암호 세미나’에 참석해 양자암호기술 적용의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SK브로드밴드 제공

SK브로드밴드는 세계 최초로 국가 기간통신망에 양자암호기술을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도청이나 해킹 우려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됐다. 국가 기밀사항이나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 위험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기존 암호기술은 해커의 능력이 향상되면 언제든 해킹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됐었다. 하지만 양자암호통신은 불확정성, 중첩, 복제 불가 같은 빛의 양자적 성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현존하는 어떤 해킹 기술로도 뚫을 수 없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가융합망 실무추진단 측은 “양자암호기술이 적용된 국가융합망 구축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고도화된 범정부 네트워크 기반을 조성했다. 이를 토대로 한층 개선된 서비스 품질과 보안을 적용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융합망이 성공적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민간에서 구축한 양자암호망은 대부분 구간당 30~70㎞에 불과했다. 이보다 먼 거리를 전송할 경우 중계 기술의 한계로 대규모 양자암호망 구성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SK브로드밴드는 국가융합망 각 구간을 30여개 양자중계기로 손실 없이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해 총 800㎞에 달하는 양자암호망 적용에 성공했다. SK브로드밴드의 국가융합망 양자암호기술 구축 사례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김구영 SK브로드밴드 공공 담당은 “대한민국이 양자암호기술 개발과 상용화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공공 솔루션을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