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학 정원을 늘려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특명’에 비수도권 대학 총장 10명 중 9명은 반대 입장을 표했다. 반면 수도권 대학 총장 대다수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로 봤다.
26일 교육부 기자단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최 대학 총장 세미나에 참석한 전국 대학 총장 1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가 반도체 등 첨단분야 학과 증원을 추진하는 것에 비수도권 대학 총장의 92.9%가 반대했다. 수도권 대학 총장의 85.7%는 찬성해 결과가 상반됐다. 전국적으로는 찬성 34.1%, 반대 65.9%로 나타났다.
수도권 대한 첨단학과 증원은 윤 대통령의 ‘불호령’ 효과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인력 양성 주문에 “수도권 대학은 정원 규제로 묶여 있다”는 취지로 언급 했다가 윤 대통령에게 “국가 미래가 걸린 일에 규제 타령한다”는 질책을 들었다. 교육부는 그 하루 뒤 수도권 대학 첨단학과 정원 확대 방침을 공식화했다. 이후 교육부는 ‘반도체부’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이 사안에 전력하고 있다.
대학 총장들은 이와 함께 고교학점제가 도입될 경우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늘릴 생각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교학점제는 고교생이 대학생처럼 수업을 골라 듣고 학점을 누적해 졸업하는 제도로 2025년 전면 도입 예정이다. 고교학점제 도입 시 학종 비율을 늘릴 예정이라고 답한 비율은 60.5%였다. 내신 성적만 보는 학생부교과전형(22.1%)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전형(15.1%)과 격차가 컸다. 특히 수도권 대학 총장의 70.4%가 학종 비율을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