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언어에 대한 미국 언어학자의 분석. 언어의 오용이나 파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언어의 확장이나 진화로 바라본다. 인터넷 언어를 ‘비격식 문어’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글과 신체가 다시 합쳐졌고 문자의 목소리가 들리게 됐다고 평가한다. 문장부호, 이모지, 이모티콘, 밈 등을 다루며 기술이 언어를 어떻게 바꾸는지 흥미롭게 보여준다.
인터넷 언어에 대한 미국 언어학자의 분석. 언어의 오용이나 파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언어의 확장이나 진화로 바라본다. 인터넷 언어를 ‘비격식 문어’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글과 신체가 다시 합쳐졌고 문자의 목소리가 들리게 됐다고 평가한다. 문장부호, 이모지, 이모티콘, 밈 등을 다루며 기술이 언어를 어떻게 바꾸는지 흥미롭게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