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원이 20일 동료 의원에게 성희롱 발언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최강욱(사진) 의원에 대해 ‘당원 자격정지 6개월’ 처분을 내렸다.
최 의원을 지지하는 강성 지지층의 반발에도 ‘제명’ 다음으로 강한 중징계를 결정한 것이다. 당내 연이은 성비위 사건으로 덧씌워진 ‘성추문 정당’ 이미지를 탈피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 윤리심판원의 이번 결정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성상납 관련 증거인멸교사 의혹’ 징계를 논의 중인 국민의힘 윤리위원회의 결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민주당 윤리심판원 소속 김회재 의원은 5시간이 넘는 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을 열고 “최 의원에 대해 당원 자격정지 6개월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징계가 확정되면 최 의원은 6개월 동안 당직을 맡지 못할 뿐 아니라 당원으로서 투표권 행사 등이 제한된다.
김 의원은 “중징계를 결정한 이유는 (최 의원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줌(온라인) 회의에서 여성 보좌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희롱성 부적절한 발언을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또 해명하는 과정에서 이를 부인하며 계속 피해자들에게 심적 고통을 준 점, 이 건으로 인한 당 내외 파장이 컸고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윤리심판원에 직권 조사를 요청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오후 7시30분 회의에 참석해 자신의 혐의에 대해 직접 소명했지만, 성희롱 발언을 한 사실은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 의원은 윤리심판원 회의가 끝난 뒤 당사 앞에서 징계 결과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을 받았지만 답하지 않고 자리를 떠났다. 최 의원에 대한 징계는 이르면 22일 당 비상대책위에 보고된 뒤 확정될 예정이다.
이번 징계 건은 민주당의 쇄신 의지를 가늠할 수 있는 시험대로 여기는 시각이 많았다.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서 “최 의원에 대한 윤리심판원의 결정에 따라 민주당이 어느 길로 갈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민주당 앞에는 두 갈래 길이 있다”며 “하나는 혁신의 길로 동지의 잘못을 처벌하고 국민께 다가가는 길, 하나는 팬덤의 길로 동지를 감싸주고 국민께 버림받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지난달 2일 법사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의 온라인 회의에서 동료 의원을 향해 성적인 행위를 뜻하는 은어를 사용하며 성희롱성 발언을 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그러자 최 의원 측은 “동료 의원의 화면이 꺼져 있고 목소리만 나오자 왜 안 나오느냐며 학교 다닐 때처럼 ‘짤짤이’(주먹에 동전을 넣고 하는 놀이)를 하는 것이냐는 식의 농담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당 안팎에서 비판 여론이 사그러지지 않자 최 의원은 “의도한 바는 아니었을지라도 정신적인 고통을 입은 우리 당 보좌진님들께 사과드린다”는 글을 당 홈페이지에 올렸다. 그러나 성희롱성 발언을 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 않았다.
이후 민주당 보좌진협의회는 “차마 공개적으로 올리기 민망한 성희롱성 발언을 확인했다”며 당에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 이후 비대위는 최 의원에 대한 직권 조사를 윤리심판원에 요청했다.
오주환 김승연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