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회의를 열고 이준석 대표의 ‘성상납 의혹 관련 증거인멸교사 사건’을 심의한다.
윤리위는 22일 오후 7시에 회의를 열어 서면 소명자료를 검토하고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을 불러 사실관계 확인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이 대표 측근인 김 실장은 성상납 의혹 제보자 장모씨를 만나 7억원 투자 각서를 써준 인물이다. 이 때문에 이 대표가 성상납 의혹을 무마하려 측근을 통해 증거인멸을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관심은 윤리위가 내릴 징계 수위에 집중되고 있다. 징계 수위는 경고, 당원권 정지, 탈당 권고, 제명의 4단계로 나뉜다. 이 대표가 ‘당원권 정지’ 이상의 징계를 받을 경우 대표직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민의힘 입장에선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새로운 당대표를 선출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경고 처분을 받는다면 이 대표는 자리를 지킬 수 있지만 리더십의 흠집은 피하기 어렵다. 이 대표는 ‘무혐의’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리위 참석 의사를 밝혔다. 별다른 걱정은 안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 일각에선 윤리위가 당내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징계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윤리위와 별개로 이 대표의 성상납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이 대표에게 성접대를 했다는 의혹을 받는 김성진(구속) 아이카이스트 대표를 23일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한편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비공개 회의 내용 유출’ 문제를 놓고 배현진 최고위원과 고성을 내며 격돌했다.
회의에서 이 대표는 “비공개 회의 때 나온 내용이 자꾸 언론에 따옴표로 인용돼 보도된다”며 “최고위 의장 직권으로 이제부터 비공개 회의에서 현안 논의를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배 최고위원이 “현안 논의를 하지 않아야 되는 것이 아니라 비공개 회의를 조금 더 철저하게 단속해 필요한 논의는 건강하게 이어나가야 할 것 같다”고 제동을 걸었다.
권성동 원내대표가 중재를 시도했지만 두 사람은 설전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배 최고위원을 겨냥해 “특정인이 참석했을 때 유출이 많이 된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고 지적했다. 이에 배 최고위원도 “대표님 스스로도 많이 유출하지 않았느냐”고 맞받았다.
이 대표는 “의사권을 권 원내대표에게 이양하고 나가겠다”며 잠시 자리에서 일어나기도 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