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성상납 관련 증거인멸교사 의혹을 다루는 당 윤리위원회가 이르면 이번 주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측은 윤리위에서 무혐의가 나올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그러나 윤리위가 징계 결정을 내린다면 이 대표의 거취는 물론 당내 권력 구도에도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윤리위 관계자는 19일 “아직 정확한 회의 날짜는 확정되지 않았다”며 “이양희 윤리위원장이 결정하는 대로 회의가 속전속결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리위는 이번 주 회의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지난 16일 귀국한 이 위원장이 나머지 윤리위원 8명의 동의만 구하면 곧바로 회의가 이뤄질 수 있다. 한 윤리위원은 “오래 끌 문제도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윤리위와 이 대표 측은 회의가 열릴 때까지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장은 지난 18일 입장문을 내고 “당 사무처의 부적절한 업무 처리로 윤리위의 정상적인 활동이 심각한 지장을 받고 있다”며 “부적절한 정치적 행위가 재발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사실상 이 대표 측을 겨냥한 것이다.
윤리위는 이 위원장이 지난주 미국에 머무는 동안 당 사무처에 입장문을 전달하고, 배포를 요청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윤리위 사무처는 당 기획조정국 소속인데, 당 지도부가 사무처에 압력을 가해 배포를 막았다는 것이다.
당 지도부는 윤리위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한기호 사무총장은 “윤리위가 이 위원장 명의로 입장문을 전달해왔기에 해외에 있는 이 위원장에게 확인하려 했으나 통화도 되지 않고 이메일도 받지 않았다”며 “이 위원장과 연락이 되지 않아 배포가 지연된 것일 뿐 당에서 방해한 게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 대표 측도 “한 번도 윤리위를 정치적으로 몰아간 적이 없다”고 주장하며 “논란을 막기 위해 입장은 더 내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윤리위 회의에 직접 출석하지 않을 방침이다.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이 대신 회의에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측은 무혐의 이외의 결과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윤리위는 재적위원(9인)의 과반 출석(5인)과 출석위원의 과반 찬성(3인)만 있으면 징계를 의결할 수 있다. 이 대표가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인 셈이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윤리위는 독립기구라 당에서 이래라저래라 할 수 없는 구조”라며 “결과를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세환 구승은 강보현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