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의 격리 의무를 유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격리로 인한 타격이 큰 자영업자 사이에선 의무 해제 의견이 더 많아 대조를 이뤘다. 의무 격리 기간을 완전히 없앨 경우 재유행을 앞당기고 규모도 키울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방역당국은 지금의 7일 격리 기간을 유지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동시에 5일로 이틀 줄이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지난 10~12일 성인 1006명을 상대로 실시한 코로나19 인식 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응답자의 46.8%는 격리 의무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고 그보다 적은 36.4%가 해제를 택했다.
특히 직업에 따라 의견이 크게 엇갈렸다. 자영업자 중에선 격리 의무를 유지해야 한다는 쪽이 36.1%에 그쳤다. 나머지 63.9%는 해제를 골랐다. 블루칼라 직군에선 두 견해가 49.8% 대 50.2%로 팽팽했다. 화이트칼라에선 구도가 역전됐다. 56.1%가 격리 의무 유지를 택했다.
코로나19 유행 전망도 나뉜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전날 공개한 예측에서 한 연구진은 2주 뒤 확진자 수가 3000명대 후반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다음 달부터 확진자가 증가할 수 있다고 본 연구진도 있었다.
전문가들은 격리 의무 해제가 확진자 증가에 기름을 부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재정당국에선 격리 의무를 해제해 재원을 절감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의료계 일각에선 격리 의무 해제로 인한 재원 절감 효과가 늘어난 확진자에 대한 치료비로 상쇄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격리 의무 해제는) 8~9월 넘어 시작될 재유행을 앞당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격리 유지 또는 해제 여부는 부처·지자체 등의 의견 조율을 거친 뒤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최종 결정된다. 당분간 지금처럼 7일을 유지하는 쪽에 무게가 실리는 기류지만, 5일 의무 격리와 2일 권고(자율격리)의 ‘5+2’로 조정하자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취약시설에 대한 보호는 철저히 유지해야 한다”며 “상황이 악화될 시 의무 격리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도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994명으로 집계됐다. 방역 당국은 고령층과 기저질환자, 백신 미접종자 등 고위험군에서 인명피해가 계속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