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양희 윤리위원장 귀국… ‘이준석 징계’ 심의 속도낸다

입력 2022-06-17 04:04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 회의에서 김용태 청년최고위원은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를 보좌할 제2부속실의 설치를 촉구했다. 국회사진기자단

개인 일정으로 해외에 머물던 이양희 국민의힘 윤리위원장이 16일 귀국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위원장이 돌아오면서 이준석 대표에 대한 윤리위의 징계 심의가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이달 24일, 27일 등 온갖 추측이 난무했던 윤리위 회의 날짜도 곧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윤리위가 지난 4월 이 대표의 ‘증거인멸교사’ 의혹과 관련해 징계 절차에 돌입한 지 두 달 만에 ‘윤리위 정국’이 본격화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당초 이 대표는 2013년 대전에서 성상납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았다. 다만 윤리위는 이 대표 측근인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이 성상납 제보자를 만난 사실에 더 주목하고 있다. 이 대표 측이 증거를 없애려는 의도가 아니었느냐는 것이다.

윤리위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주 유엔 관련 세미나 참석차 출국했던 이양희 위원장은 이날 귀국했다. 이 위원장은 출국 전후 윤리위를 둘러싼 당 지도부 일각의 비판 여론을 인지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지난 13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제가 품위 위반을 했다는데 그럼 당이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 (품위 위반이) 어떤 기준인지 윤리위가 잘 설명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성일종 정책위의장도 지난 6일 CBS 라디오에서 이 대표 관련 의혹에 대해 “피해자도, 증거도 없다. 그런데 어떤 명분과 근거로 징계하겠다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에 윤리위는 ‘위원회 활동을 정치적으로 해석하지 말아 달라’는 취지의 보도자료를 당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징계 대상자인 이 대표의 소명자료 제출을 당에 요구했지만 제대로 조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리위 측은 당대표가 윤리위 징계 대상이 아니라는 주장도 적극 부인하고 나섰다. 윤리위 관계자는 “이 대표는 당원이고, 모든 당원은 윤리위의 대상이 된다”고 강조했다.

윤리위가 내리는 징계 수위는 경고, 당원권 정지, 탈당 권고, 제명의 4단계로 나뉜다. 만약 이 대표가 당원권 정지 이상의 처벌을 받지 않는다면 당헌·당규상 대표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대표가 가장 낮은 수준의 징계인 경고 처분만 받아도 도덕적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위원장은 자신을 포함한 윤리위원 9명의 의견을 취합해 조만간 회의 날짜를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위원들이 이 대표 징계안을 두고 만장일치로 결론을 내지 못할 경우에는 표결을 하게 된다. 위원회 과반인 5명 출석에 3명이 찬성하면 가결된다.

이 대표가 징계를 받게 된다면 차기 당권을 둘러싼 권력 구도 개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계파에 상관없이 의원 대부분이 윤리위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윤리위와 경찰 수사에서 밝혀질 사안”이라며 말을 아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