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누리호 2차 발사를 위해 1단과 2단 로켓을 분리하고 재결합하는 작업을 거쳐야 할 수 있다고 16일 밝혔다. 누리호 2차 발사 일정은 불투명한 상태이며, 그 시기가 수개월 이상 연기될 수 있다는 얘기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온라인 브리핑에서 “누리호는 15일 밤 10시 30분 조립동으로 이송돼 16일 오전 8시 30분부터 점검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누리호 발사가 연기된 이유는 1단 로켓 산화제 탱크의 산화제 양을 측정하는 센서가 오작동했기 때문이다. 고 본부장에 따르면 산화제에 장착된 센서와 하니스(배선 묶음), 신호처리 박스 등 3가지를 점검해야 하는데, 신호처리 박스와 하니스는 1단 로켓 산화제 탱크와 연료 탱크 사이에 있어 이곳의 문제라면 보완 작업이 신속히 마무리 될 수 있다. 만약 산화제 센서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복잡해진다. 산화제 센서를 들여다봐야 하는데 그러려면 1단과 2단을 분리해야 한다.
고 본부장은 “각 단에는 단 분리 등을 위해 화약류가 설치돼 있다. 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 위험도 있어 조심스럽게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누리호는 37만개의 부품이 완벽히 작동해야 성공할 수 있어 1, 2단을 분리하고 재결합하는 작업은 다른 부분에 영향이 없도록 진행해야 한다. 다만 산화제 탱크 센서 계통 외에는 현재까지 추가로 발견된 문제는 없다고 항우연은 전했다.
신호처리 박스와 하니스에서 문제가 나와 수정되더라도 발사 성공 가능성을 높이려면 1, 2단을 분리해 산화제 센서를 점검해야 할 수도 있다. “현재로선 2차 발사 시점을 예상하기 어렵다”는 게 항우연 설명이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