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사건 진상규명 빨라지나… 유족 증언을 공적자료로 활용

입력 2022-06-17 04:04
광양시가 ‘여순사건 피해신고 접수’ 위해 현장을 직접 찾아가 유족들에게 설명을 하고 있다. 광양시 제공

전남도는 그동안 추진해온 ‘여순사건 유족증언 녹취사업’이 당시 사건에 대한 기록보존은 물론 여순사건 희생자·유족을 결정짓는 중요한 공적자료로 활용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유족증언 녹취사업은 여순사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경험한 희생자·유족의 피해 사실 기억에 대한 증언을 직접 듣고 생생하게 기록해 진상조사와 희생자 및 유족 결정에 대비하고 역사 교육자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추진됐다. 사업 기간은 2020년 9월부터 올해 11월까지다. 순천대학교 10·19연구소와 용역계약을 해 지난해 10월까지 1차로 302명을 마쳤으며, 현재 150명을 대상으로 2차 사업을 진행 중이다.

전남도는 여순사건 발생 70여년이 넘는 긴 세월과 유족마저 고령인 점을 감안해 특별법 제정 이전부터 이 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군과 읍면동을 통해 피해 사실을 아는 640명에게 미리 신청을 받아 준비를 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지연됐다.

녹취사업으로 확보한 증언 기록은 희생자·유족 결정을 위한 중요한 증거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올해 하반기부터는 여순사건 연고자 찾기 캠페인과 여순사건 역사적 사실 영상 제작, 국민적 관심을 위한 기록보존, 교육자료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무안=김영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