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가 지난 1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 방문 때 지인을 대동한 일로 논란이 일자 ‘김건희 리스크’가 또다시 불거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김 여사 행보에 대해 캠프 차원의 보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점이 취임 이후에도 반복되고 있어서다. 윤 대통령이 15일 직접 나서 해명하는 상황으로까지 번졌다. 이에 김 여사의 외부 활동을 지원하는 전담조직이 대통령실에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윤 대통령은 이날 출근길에 김 여사의 지인 대동 논란과 관련해 “(봉하마을 방문) 사진에 나온 사람은 저도 잘 아는데 제 처의 오래된 부산 친구”라고 해명했다. ‘부산 친구’는 김모 충남대 무용학과 겸임교수로, 김 여사가 운영하던 회사인 코바나컨텐츠의 임원이었다.
윤 대통령은 “지금 공식적인 수행이나 비서팀이 전혀 없기 때문에 혼자 다닐 수도 없다”면서 “방법을 알려 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은 김 여사를 보좌하는 공적인 수행조직이 없어 지인을 대동하는 것이 불가피했다는 뜻으로 읽힌다. 봉하마을 방문 당시 대통령실 직원 3명이 김 여사를 수행했는데, 이들은 김 여사를 전담으로 지원하는 인원은 아니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다만 3명 중 2명은 코바나컨텐츠에서 김 여사와 함께 일했던 인사들이다.
제2부속실 폐지는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지만, 불필요한 논란이 계속 제기되는 만큼 지금이라도 제2부속실 같은 공적인 대통령 부인 수행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도 “김 여사를 서포트할 전담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의견에 대해 윤 대통령은 “대통령을 처음 해보기 때문에 (김 여사의) 공식·비공식 이런 것(일정)을 어떻게 나눠야 될지, 국민 여론을 들어가면서 (제2부속실 설치 문제를) 차차 생각해보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전 대통령의 경남 양산 사저 앞 시위에 ‘맞불’을 놓는 차원에서 윤 대통령의 서초동 자택 인근에서 벌어지는 시위에 대해 윤 대통령은 “법에 따른 국민의 권리이니 거기에 대해 제가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화물연대 파업이 일단락됐으나 아직 불씨가 남았다는 이야기도 있다’는 취재진의 물음에 “조마조마하다”면서 “전 세계적으로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경제 위기로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데 우리가 다 함께 전체를 생각해서 잘 협력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문동성 이상헌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