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2024년 총선을 앞두고 전국 47개 선거구에 대한 조직위원장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 6·1 지방선거를 치르며 공석이 된 조직위원장 자리를 채우고 지역 기반을 다지기 위한 것이다.
조직위원장에 선출되면 해당 선거구 운영위원들의 의결을 거쳐 당협위원장으로 추대된다. 선거구 대표로서 지역 민심을 관리하며 총선을 준비할 자격을 얻게 되는 셈이다.
차기 총선을 22개월 남겨놓은 시점인데 벌써부터 22대 국회의원을 노리는 예비 후보자들의 지역구 쟁탈전이 막을 올린 모습이다. 일부 선거구에선 당 지도부의 ‘당협 쇼핑’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의 심사가 시작되기도 전에 유력 인사 내정설이 난무하면서 여당 내 집안 싸움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강동갑과 마포갑을 포함한 8개 선거구가 조직위원장 공모 대상이다. 경기도는 성남 수정, 의정부갑 등 19개 선거구에 대한 공모가 이뤄진다. 인천에선 계양을 선거구를 포함한 3곳에서 조직위원장을 뽑는다. 조강특위는 접수가 끝나는 대로 심사를 거쳐 당 최고위원회에 명단을 올릴 방침이다. 이후 최고위 의결을 통해 각 선거구 조직위원장이 확정된다.
정치권에선 벌써부터 선거구 쟁탈전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부 후보자들은 당 지도부가 낙점한 인사가 조직위원장에 내정됐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서울 지역 조직위원장에 지원한 한 인사는 14일 “접수가 마감되기도 전에 현직 비례대표 의원이 위원장으로 선정될 것이라는 얘기가 공공연히 돌고 있다”며 “사실상 지도부가 당협 쇼핑을 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당협 쇼핑 논란은 지난 7일 이준석 대표와 정진석 의원이 설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이미 한 차례 불거졌다.
정 의원은 성남 분당을 조직위원장에 정미경 최고위원이 내정된 것을 두고 이의를 제기했다. 당내에선 서울 동대문을 조직위원장에 허은아 수석대변인이 내정된 사실을 놓고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정 최고위원과 허 수석대변인은 모두 이 대표의 측근으로 꼽힌다. 이 대표는 이들이 정당한 경쟁을 거쳐 조직위원장으로 선발됐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 최고위는 당내 논란을 의식한 듯 아직 정 최고위원과 허 수석대변인의 조직위원장 임명안을 의결하지 않고 있다. 최고위 관계자는 “지방선거가 끝났으니 곧 최종 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이번 공모를 둘러싼 조직위원장 내정설도 적극 반박하고 나섰다. 조강특위 위원장인 한기호 사무총장은 “이제 접수하고 있는 단계인데 벌써 내정자가 있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나오는 헛소문”이라고 선을 그었다. 당 고위관계자도 “원래 조직위원장 공모 과정에선 이런저런 말들이 많이 나온다”며 “결국 가장 경쟁력 있는 사람이 선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