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안규백 “대의원·당원 표결 비율, 만고불변 아냐”

입력 2022-06-15 04:08

안규백(사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은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득표 반영 비율은 만고불변의 진리가 아니다”며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문제”라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14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전당대회 규칙은 시대 상황을 비롯한 여러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며 “약간의 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친명(친이재명)계를 중심으로 현재 각각 45%, 40%인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득표 반영 비율을 대의원 20%, 권리당원 45% 정도로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표출됐다. 1만6000여명 수준인 대의원의 표가 70만명에 육박하는 권리당원의 표보다 더 큰 결정권을 갖는다는 것을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에 이어 안 위원장도 반영 비율 조정에 긍정적인 언급을 함에 따라 조정 가능성이 커졌다.

안 위원장은 그러나 친명계가 요구한 권리당원 투표권 확대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안 위원장은 “이는 원칙의 문제이기 때문에 민주당 구성원 전반의 합의가 필요하다”며 “고무줄처럼 인위적으로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쉽지 않다”고 말했다.

현재 민주당은 선거권 행사 6개월 전 입당해 6회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에게만 선거권을 주고 있다. 그러나 친명계 일각에서는 이를 ‘3개월 전 입당, 3회 이상 당비 납부’로 완화할 것을 요구했다. 반면 친문(친문재인) 진영은 이재명 의원 측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이라며 강하게 반대했다.

안 위원장은 ‘내실 있는 전당대회를 위해 일정을 순연하자’는 당 일각의 요구에 대해서도 “시간은 충분하다”고 일축했다. 그는 “지금 전당대회를 뒤로 미루면 국민이 민주당을 어떻게 여기겠느냐”며 “원칙도 없고, 절박하지도 않다고 생각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안 위원장은 재선 의원 그룹을 중심으로 제기된 ‘집단 지도체제’로의 지도부 선출 방식 변경에 대해선 “그렇게 할 필요가 있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그는 이어 “현재의 ‘단일성 지도체제’로 새 지도부를 구성하면 지도부 구성원의 선수가 너무 낮아져 정치적 무게감이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단일성 지도체제는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각각 선거를 치르는 것으로 현재 민주당의 지도부 선출 방식이다. 반면 집단 지도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를 한번에 치러 최다 득표자가 당대표가 되고, 최고위원은 득표순으로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안 위원장은 집단 지도체제로 변경될 경우 지도부 내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구더기가 무서워 장을 못 담그겠다는 얘기 아니냐”며 “정치집단은 정치력을 발휘해 이해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특히 안 위원장은 친명계와 친문계가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과 관련해 “지금은 평시가 아닌 전시에 준하는 비상상황이기 때문에 (양측 모두) 구당적 차원에서 당을 살리겠다는 마음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 위원장 선임에 대해 친명계 일각에서는 범친문계로 분류되는 정세균계인 안 위원장이 공정하게 전당대회를 진행할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도 있다.

안 위원장은 이에 대해 “정세균계는 이미 해체선언을 했다”면서 “나는 계파색이 없는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당무위원회의 인준과 동시에 전준위를 공식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