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도시의 ‘수포자(수학포기자)’는 줄어든 반면 읍면 지역 수포자는 늘었다. 고교생 기초학력 미달 비율도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전반적인 공교육 수준이 후퇴한 것이 영향을 비친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부는 13일 ‘202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대응 전략’을 발표했다. 지난해 9월 14일 전국의 중3, 고2 학생 2만2297명(전체 학생의 3%)을 표집 평가해 분석한 내용이다.
평가 결과 대도시와 읍면 지역의 수학 학력 격차가 확대된 것이 우선 눈에 띈다. 고2는 2020년 평가에서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대도시 62.9%, 읍면 지역 56.8%로 6.1% 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지난해 평가에선 대도시 68.3%, 읍면 55.4%로 격차가 12.9% 포인트로 크게 벌어졌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 격차 확대도 주목된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2020년 대도시와 읍면 지역 모두 13.7%로 동일했다. 하지만 2021년에는 대도시 학생은 12.5%로 줄어든 반면 읍면 지역 학생은 16.1%로 늘었다.
코로나19로 공교육이 파행을 거듭하면서 사교육에 쉽게 접근 가능한 대도시 학생들과 그렇지 못한 읍면 지역 학생들의 격차가 커졌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특히 문·이과 통합형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대입에서 수학 영향력이 커진 것을 감안하면 입시에서도 두 지역의 벌어진 격차가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고2는 수학을 포함한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표집 평가로 전환된 2017년 이후 가장 높았다. 국어와 영어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각각 7.1%와 9.8%였다. 반면 중3의 국어·영어·수학 기초 학력 미달 비율은 전년 대비 모두 줄었다. 다만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국어(75.4%→74.4%), 수학(57.7%→55.6%)이 감소했다. 교육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공교육 파행을 학력 저하 원인으로 지목한다. 다만 대도시와 읍면 지역에서 확대된 수학 실력차에 대해서는 “원인을 파악 중”이라고 했다. 평가 시행 이후 9개월이 지났지만 원인 분석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교육부는 학력 진단 강화를 해법으로 제시한다. 오는 9월부터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를 도입키로 하고 희망하는 모든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2024년부터는 초3∼고2 사이 모든 학년이 평가를 받도록 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오는 10월 ‘교육결손 해소를 위한 중장기(2023∼2025) 이행방안’과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을 발표한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