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비서국 회의에서 간부들의 ‘비혁명적 행위’를 지적하며 군기 잡기에 나섰다.
김 위원장이 당 전원회의를 끝낸 지 이틀 만에 비서국 회의를 따로 소집해 당내 규율 문제를 다룬 것은 그만큼 당 간부들의 기강해이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김 위원장은 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 간부들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방역체계 곳곳에서 총체적인 문제가 드러났다고 강하게 질책한 바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12일 당 중앙위 본부청사에서 비서국 회의를 주재했다고 13일 보도했다. 통신은 “비서국은 당에 강한 규율 준수 기풍을 세우고 일부 당 일군(간부)들 속에서 나타나는 세도와 관료주의를 비롯한 불건전하고 비혁명적인 행위들을 표적으로 더욱 강도 높은 투쟁을 전개하는 데 대해 토의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회의에서 “보다 강력한 당 규약 및 규율 준수 기풍과 당의 노선과 방침 집행 정형, 건전한 작풍 구현과 도덕생활 정형에 대한 감독사업 체계와 시정 체계를 엄격히 세우는 것이 필수불가결의 선결 과업”이라고 강조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부총장은 “당 내부의 비혁명적, 반사회주의적 행동양식을 근절하고 당 사업 활동에 체계를 세우겠다는 것”이라면서 “궁극적으로는 코로나 이후 전반적인 사회 내부의 이완을 방지하고 체제 결속을 강화하겠다는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은 회의에서 당중앙검사위원회와 지방의 규율감독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당 규율조사부서의 권능을 확대하라고 지시했다. 지난해 1월 당대회에서 규율조사부를 처음 설치해 간부 활동과 사생활에서 나타난 일체 행위를 조사하는 막강한 힘을 부여했는데 이번에 그 권한을 더욱 키운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 드러난 비서국 구성에서도 대남 담당 비서직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북 대화에 무게를 두지 않겠다는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대남 담당 비서직제를 없앴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